혈관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이는 심혈관질환이 혈관과 연관되는 경우가 많고
심혈관질환에 관한 내용들을 읽다보면 혈관의 구조에 관한 용어들이 많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가장 기본적으로 혈관의 구조는 어떠한지에 대해 공부를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혈관의 구조에 대해서는 대학교 1학년때 배우는 일반생물학부터 배우는데 학문 깊이가 깊어질수록 점점 세부적으로 다루기 때문에 병태생리학, 약물학, 약물치료학까지 커버할 수 있는 혈관의 구조까지 찾아보았습니다.
혈관의 구조 중 내막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4가지 층으로 또 나누었는데, 한글은 책마다 번역이 달라져서, 되도록 영어로 외우는게 헷갈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1) endothelium
2) basal lamina
3) subendothelial layer
4) internal elastic membrane
그 이유는 병태생리학적으로 중요하게 다루는 죽상동맥경화증이 내막에 죽종이 생김으로 인해 혈관으로의 혈액공급이 어려워지는 질환이기 때문입니다.
중막에는 평활근이 대부분이라는 것 정도만 알면되고, 외막은 외막 그 자체로 알고 있으면 됩니다. 혈관의 구조에 대해 이해를 했고 암기를 했다면 그 다음은 죽상동맥경화증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블로그 'pharm pharm' 은 소통하는 블로그 를 지향하고,
댓글에 최대한 빠르게 답변드리고있으니 궁금한게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 달아주세요~
★ '공감'은 저에게 있어 새로운 글을 쓰는데 큰 원동력이 됩니다. 글이 도움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
★ '블로그구독+ 티스토리 앱설치'를 통해 최신글과 댓글을 바로바로 확인하세요~
★ 이메일 문의 ds00s75@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