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질(Epilepsy)는 정신신경과 영역에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질환으로
미국의 경우 인구 1000명당 3~10명 정도가 간질 질환자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항경련제의 작용기전별 분류>
1. Na 채널 차단하는 항경련제
Na이온의 유입을 차단하여 자극의 전달을 막습니다.
ex. Carbamazepine, Phenytoin, Lamotrigine, Valproic Acid
2. GABA 수용체에 작용하는 항경련제
ex. Benzodiazepine, Barbiturate
GABA(Gamma-AminoButyric Acid)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서 glutamic acid로부터 생합성됩니다.
GABA가 GABA (a) receptor의 α, β subunit 사이에 결합
→ GABA receptor 수용체의 열림횟수 ↑
→ Cl-이온의 유입↑
→ 신경전달 억제, 긴장 완화
2-1) Benzodiazepine
[작용]
Benzodiazepine은 GABA (a) receptor의 α,γ subunit 사이에 결합
→ GABA receptor가 GABA에 대한 친화력 ↑
→ GABA receptor 채널 열림횟수 ↑
→ Cl-이온의 유입↑
→ 신경전달 억제, 긴장 완화
[Benzodiazepine의 예]
Alprazolam, Chlordiazepoxide, Clonazepam, Diazepam, Lorazepam, Temazepam
2-2) Barbiturate
[특징]
- Benzodiazepine과 비교하여 높은 독성때문에 최소한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내성과 의존성을 종종 보입니다.
[작용]
Barbiturate은 GABA (a) receptor에 결합
→ GABA receptor가 열려있는 시간 ↑
→ Cl- 이온의 유입↑
→ 신경전달 억제, 긴장 완화
[Barbiturate의 예]
Phentobarbital, Phenobarbital, Secobarbital
3. Ca 채널 억제 :
Ca이온의 흐름은 경련 중 absence seizure와 관련이 있으며 약물을 통해 이를 억제합니다.
ex. ethosuximide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발음] 정리 (0) | 2020.04.01 |
---|---|
전치사 in과 on (0) | 2020.04.01 |
[의약화학] 항우울제 (0) | 2020.03.25 |
정전기가 많이 생기는 이유 (0) | 2020.01.26 |
[카투사 KATUSA] 평택 근처 맛집 (2) | 2020.01.13 |